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5

[GIS] 개발관련 GIS 기초공부(9) - 자료의 분석(공간분석) 9. 자료의 분석 9.1. 공간분석 GIS 공간자료 분석 - 인문 · 자연적 현상의 입지이론, 토지이용, 공간구조 및 시스템 등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과 사례를 지리학적 시각에서의 이해 필요 - 공간구조 분석 : 지리적 현상의 공간적 변화과정과 이동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리적 현상의 공간조직, 공간구조 및 공간시스템을 분석하는 다양한 방법론 - 공간분석 수행을 위하여 다양한 공간형상들 간의 공간관계 정보를 인접성, 연속성, 영역성 등으로 구성 - 필수적으로 위상구조가 정립되어 있어야 공간분석이 가능 9.2. 형태에 따른 분석 표면분석 - 하나의 자료층(레이어) 상에 있는 변량들 간의 관계분석에 적용하는 분석 중첩분석 - 둘 이상의 자료층(레이어)에 있는 변량들 간의 관계분석에 적용하는 분석방법 -.. 2023. 12. 1.
[GIS] 개발관련 GIS 기초공부(8) - 정보의 추출(지형모델링, 보간, 수치모델) 8. 정보의 추출 8.1. 지형모델링 - 지형 모델링에는 두 가지 개념이 있다. 표면 모델링 개념과 수치지형 모델링 개념. 표면 모델링 - 지표상에 연속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현상을 컴퓨터 환경에서 표면으로 표현하는 것 수치지형 모델링 - 수치지형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데이터를 GIS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와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분석 및 응용을 포함하는 일련의 과정 - 지형 모델링의 예 8.2. 3차원 지형 모델링 3차원 수치모델 생성 - DTM (digital terrain model) : 지형을 수치적 또는 수학적으로 표현하는 것 - 과거에 쓰던 용어. - 현재는 표현 대상에 따라 구분 - DEM (digital elevation model) : 수치 표고(고도) 모형 .. 2023. 12. 1.
[GIS] 개발관련 GIS 기초공부(7) - 정보의 흐름 7. 정보의 흐름 7.1. 정보의 흐름 우선 자료를 컴퓨터에 입력한다(자료입력) 컴퓨터에 입력되어 저장된 자료가 처리된다(자료처리) 그리고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된다(출력) 7.2. 자료의 입력 자료 입력 : 자료의 입력 + 부호화 수동방식(digitizer)에 의하여 수치화한 후 입력 자동방식(scanner)에 의하여 수치화한 후 입력 영상(항공사진, 위성영상 등)의 입력 GNSS및 total station에 의한 수치자료 입력 기 제작된 수치지도 입력 자동입력 방식(scanner) - 스캐너에 의해 종이 지도나 사진 등의 영상을 읽어 컴퓨터에 래스터 형태로 저장 - 래스터 방식 · 절대좌표의 게산 및 설정이 불가능 · 길이, 면적, 체적 등의 기하학적 결과의 추출 불가능 - 벡터화 : 래스터 자료를 연.. 2023. 12. 1.
[GIS] 개발관련 GIS 기초공부(6) - 정보의 교환 (metadata) 6. 정보의 교환 데이터베이스는 만들기도 힘들고 비용도 매우 많이 소요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의 장점은 여러 사람이 공유할 수 있다, 각기 다른 목적을 위해 만들어졌다 하더라도 여러 사람이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번에는 어떻게 정보를 교환하는 지에 대해 학습 6.1.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개요 - 어떠한 계획을 결정하기 위해서 의사결정자들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충분히 이해하고 필요한 요구를 참고하여 공통된 목표를 위해 결정을 선택 - 특수한 경우에는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들이 발생하여 의사결정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 의사결정 지원시스템 -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해석적 모델링과 같은 결정 탐색 과정을 도입하여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도록 지원하는 시스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요건 상호작용을 통한 처리 능력 -.. 2023. 11. 30.
[GIS] 개발관련 GIS 기초공부(5)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5.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5.1. DBMS 개요 - 자료의 저장, 조작, 검색, 변환을 처리하는 특별한 소프트웨어 → 데이터베이스를 관리, 조작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일종 - 정보의 저장과 관리와 같은 정보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 - DBMS는 조작자와 하드웨어 사이에서 사람의 논리적인 요청을 컴퓨터 언어로 번역해주고 데이터의 입출력을 관리해 주는 S/W - DBMS 는 데이터 관리를 위해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여 다른 응용프로그램에게 서비스를 해 주는 프로그램 - DBMS의 요구사항 : 대용량의 자료를 처리 고도의 신뢰성 요구 철저한 안정성 보장 동시에 효율적으로 동작 5.2. DBMS 기능 - DBMS에서 파일의 조작과 관리가 가능 - 복잡한 파일 조작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 2023. 11. 30.
[GIS] 개발관련 GIS 기초공부(4) - 정보의 구조 4. 정보의 구조 4.1 파일구조 구성요소 기록 - 컴퓨터에 의해 자료들이 저장되는 경우 서로 관련이 있는 자료항목들은 그룹을 이룬 형태로 저장 - 기록은 표 내에서 행이라고 하며 특성요소에 대한 정보 표현 영역 - 하나의 기록은 여러 개의 영역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영역은 자료의 항목을 포함 - 이름, 전공, 학번, 성별이 영역으로 표현 검색자 - 자료파일을 검색하기 위해 사용되는 특별한 키워드 - 다음 표에서 이름은 검색자, 그 외의 영역들은 속성영역 4.2. 데이터베이스 개요 DB정의 - 서로 연관성이 있는 특별한 의미를 갖는 자료의 모임을 의미 - DB 구축은 GIS 사업에서 가장 많은 비용과 시간을 요하는 요소 - 따라서 사전에 사용자와 사용목적이 충분히 논의된 이후에 설계가 이루어지고 구축이 진.. 2023. 11. 30.
[GIS] 개발관련 GIS 기초공부(3) - 위상구조 3. 위상구조 3.1 위상구조의 개념과 형태 topology = topos + logos 공간속의 점, 선, 면 및 위치 등에 관하여 양이나 크기와는 관계없이 형상이나 위치 관계를 표현 GIS에서 활용되는 지형 및 공간자료는 위치, 위상관계의 연결성, 대상물의 특성에 대한 자료들을 포함하므로 그 표현과 자료구조가 매우 복잡 GIS 자료처리는 지형적인 측면과 공간적인 측명이 함께 포함되므로 그래프와 지도에 대해 잘 연결할 수 있는 설계된 시스템이 지표면의 위치와 깊은 연관성 각종 위상구조 3.2 위상구조의 정의 위상구조는 공간관계를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수학적 방법 입력 자료의 위치를 좌표값으로 인식하여 각각의 자료정보를 상대 위치로 저장하고, 선의 방향, 특성들 간의 관계, 인접성, 연결성, 포함성 등을 .. 2023. 11. 29.
[GIS] 개발 관련 GIS 기초공부(1,2) - 개요 및 정보 GIS회사에 입사한 신입으로서 기초적인 공부를 하며 정리한 내용 1. GIS 개요 1.1 정의 - 지리공간정보체계 - GIS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GSIS :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이라고도 한다. - 지구, 지표, 공간, 우주 등 인간이 활동하는 모든 공간에서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정보화하고 이 정보를 컴퓨터에 넣어 종합적, 연계적으로 처리하는 시공간적 분석을 통해 그 자료의 효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정보 시스템 - 필수요소 : 컴퓨터(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자료, 인적자원 1.2 출현배경 1. 산업화, 도시화에 따른 방대한 자료처리의 문제점 발생 1. 제도상의 문제 - 부서간 업무연계 취약 - 지역 통계자료의 부족 2. 내용상.. 2023. 11. 29.
[Java/Algorithm] 백준 10818번: 최소, 최대 구하기 (배열o, 배열x) 드디어 배열 메소드 사용하는 최대,최소 문제 시작 sort()를 쓰면 금방이지만, 메모리를 잡아먹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배열 없이도 풀어보았다. 1. 배열o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int[] arr = new in.. 2023.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