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IS

[GIS] 개발관련 GIS 기초공부(3) - 위상구조

by dev_haha 2023. 11. 29.

3. 위상구조


3.1 위상구조의 개념과 형태

  • topology = topos + logos
  • 공간속의 점, 선, 면 및 위치 등에 관하여 양이나 크기와는 관계없이 형상이나 위치 관계를 표현
  • GIS에서 활용되는 지형 및 공간자료는 위치, 위상관계의 연결성, 대상물의 특성에 대한 자료들을 포함하므로 그 표현과 자료구조가 매우 복잡
  • GIS 자료처리는 지형적인 측면과 공간적인 측명이 함께 포함되므로 그래프와 지도에 대해 잘 연결할 수 있는 설계된 시스템이 지표면의 위치와 깊은 연관성

각종 위상구조

출처: https://youtu.be/sIvJRlIN77c?si=ZjzFa7D-1fqow9ox


3.2 위상구조의 정의

  • 위상구조는 공간관계를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수학적 방법
  • 입력 자료의 위치를 좌표값으로 인식하여 각각의 자료정보를 상대 위치로 저장하고, 선의 방향, 특성들 간의 관계, 인접성, 연결성, 포함성 등을 정의하는데 사용

3.3 위상관계 모델

출처: https://youtu.be/sIvJRlIN77c?si=ZjzFa7D-1fqow9ox


3.4 위상관계 장점

1. 지능형 벡터로 자료 연결
2. 공간관계의 자동인식
3. 각각의 객체들은 다른 객체들에 연결되며 그들 서로를 결합하는 다중연결 가능
4. 편리한 프로그래밍

3.5 위상구조 제작

정위치 편집 - 지리조사 및 현지 보완측량의 성과를 이용
- 도화 성과 또는 지도자료 입력성과를 이용
- 과장, 전이, 삭제부분 수정, 보완하는 작업
구조화 편집 - 자료간의 지리적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
- 정위치 편집된 도형자료인 지형, 지물을 기하학적 형태로 구성하여 속성자료와 연결시키는 작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