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IS

[GIS] 개발관련 GIS 기초공부(4) - 정보의 구조

by dev_haha 2023. 11. 30.

4. 정보의 구조


4.1 파일구조

구성요소

기록 - 컴퓨터에 의해 자료들이 저장되는 경우 서로 관련이 있는 자료항목들은 그룹을 이룬 형태로 저장
- 기록은 표 내에서 행이라고 하며 특성요소에 대한 정보 표현
영역 - 하나의 기록은 여러 개의 영역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영역은 자료의 항목을 포함
- 이름, 전공, 학번, 성별이 영역으로 표현
검색자 - 자료파일을 검색하기 위해 사용되는 특별한 키워드
- 다음 표에서 이름은 검색자, 그 외의 영역들은 속성영역

4.2. 데이터베이스 개요

DB정의

- 서로 연관성이 있는 특별한 의미를 갖는 자료의 모임을 의미
- DB 구축은 GIS 사업에서 가장 많은 비용과 시간을 요하는 요소
- 따라서 사전에 사용자와 사용목적이 충분히 논의된 이후에 설계가 이루어지고 구축이 진행되어야 함.
장점 단점
  • 자료의 집중이 가능
  • 자료가 표준화되고 구조적으로 저장
  • 원천이 다른 자료도 한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연계가 가능
  • 자료의 검색과 정보추출이 신속하고 용이
  •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공유 가능
  •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에서 서로 다른 목적으로 편집되고 저장
  • 관련 전문가 필요
  • 초기 구축비용과 유지관리 비용 고가
  • 제공되는 정보의 가격이 고가
  • 사용자는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 정해진 자료의 흐름 파악과 구성의 구비가 필수
  • 자료의 분실 및 망실에 대비한 보완 조치 필요

4.3. 데이터베이스 모델

DB모델의 종류

1. 평면파일 구조
2. 계층형 구조
3. 망구조
4. 관계구조 등

4.3.1. 평면파일 구조

특징
  • 모든 기록들이 같은 자료항목을 가지며 검색자에 의해 정해지는 자료 항목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한다.
  • 이 기록들에 대한 접근은 순차적인 탐색이나 이진법에 의한 탐색, 색인을 기준으로 한 탐색 등에 의해 수행
장점
  • 기록을 검색할 때 검색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검색이 신속히 수행되며 구조가 간단하여 프로그램의 작성이 용이
단점
  • 새로운 자료항목의 추가나 자료항목의 길이를 확장시킬 때 프로그램을 변형

4.3.2. 계층형 구조

특징
  • 여러 자료항목이 하나의 기록에 포함되고 파일 내의 각각의 기록은 각기 다른 파일 내의 상위 계층의 기록과 연관을 가진 구조로 형성
  • 이러한 연관은 지시자를 이용
    → 낮은 단계의 기록과 높은 단계의 기록을 연결
장점
  • 다양한 기록이 다른 파일에 있는 기록과 서로 연관
    → 일률적인 기록의 추가와 삭제가 용이
  • 높은 단계의 기록을 통해 하위 구조로 접근
    → 자료의 검색 속도 증가
단점
  • 자료에 대한 접근은 상위 단계 기록을 먼저 검색한 이후 하위 구조의 검색이 가능
  • 상위 단계의 기록들이 서로 연관되어 구축
    → 하위 단계의 기록들 내에 있는 동일 자료에 대한 검색 가능
  • 지시자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 내에 지시자를 위한 저장 공간이 확보되어 있어야 함.

출처: https://youtu.be/yB4YB0xDrkg?si=u-Mix3RJEGHVK7dn


4.3.3. 망 구조

특징 - 기록은 다른 파일에 있는 하나 이상의 기록들과 연관
  → 다른 파일에 있는 기록들과 연관시키기 위해서는 계층형 구조와 마찬가지로 지시지가 필요
장점 - 다른 파일 내에 있는 기록을 접근하는 경로가 다양하고 기록들 사이에 다양한 연관이 있더라도 반복하여 자료항목을 생성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

- 하나의 파일에 들어 있는 기록에 변화가 발생하여도 다른 파일을 사용하는 프로그램에 영향 없음

- 기록이 추가되거나 삭제되면 서로 다른 자료 내에 있는 기록 사이의 연관성을 정의하는 지시자가 자동적으로 변환
단점 -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료이용 영역이 확대
    → 연관성은 더욱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되며 새로운 연관성을 위해 자료가 재구성되므로 또 다른 새로운 연관성을 규적

- 커다란 DB에서와 같이 복잡한 자료는 자료망 내에 지시자를 저장하기 위한 충분한 저장 공간 필요

4.3.4. 관계 구조

특징 - 자료항목들은 표라고 불리는 서로 다른 평면구조의 파일에 저장되고, 표 내에 있는 각각의 사상은 반복되는 영역이 없는 하나의 자료 항목 구조 소유

- 이러한 표들은 횡방향으로 주어진 값들과 연관을 맺게 되며 표와 표 사이의 새로운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새로운 분야에 대한 응용이 가능
장점 - 기술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도 자료에 대한 접근이 용이

- 새로운 기록이나 자료항목이 추가되거나 기록들 간의 새로운 관계가 설정 되더라도 기존의 프로그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
단점 - 커다란 표 사이에 새로운 관계를 정립하기 위해서 많은 처리 시간이 필요
    → 표 내의 기록들에 대한 접근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므로 낮은 처리 속도

- 사용자가 각 항목들 사이의 불필요한 관계를 설정하게 될 때 이러한 기록들 사이에는 높은 연관관계로 논리적은 오류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