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정보의 구조
4.1 파일구조
구성요소
기록 | - 컴퓨터에 의해 자료들이 저장되는 경우 서로 관련이 있는 자료항목들은 그룹을 이룬 형태로 저장 - 기록은 표 내에서 행이라고 하며 특성요소에 대한 정보 표현 |
영역 | - 하나의 기록은 여러 개의 영역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영역은 자료의 항목을 포함 - 이름, 전공, 학번, 성별이 영역으로 표현 |
검색자 | - 자료파일을 검색하기 위해 사용되는 특별한 키워드 - 다음 표에서 이름은 검색자, 그 외의 영역들은 속성영역 |
4.2. 데이터베이스 개요
DB정의
- 서로 연관성이 있는 특별한 의미를 갖는 자료의 모임을 의미
- DB 구축은 GIS 사업에서 가장 많은 비용과 시간을 요하는 요소
- 따라서 사전에 사용자와 사용목적이 충분히 논의된 이후에 설계가 이루어지고 구축이 진행되어야 함.
장점 | 단점 |
|
|
4.3. 데이터베이스 모델
DB모델의 종류
1. 평면파일 구조
2. 계층형 구조
3. 망구조
4. 관계구조 등
4.3.1. 평면파일 구조
특징 |
|
장점 |
|
단점 |
|
4.3.2. 계층형 구조
특징 |
|
장점 |
|
단점 |
|
4.3.3. 망 구조
특징 | - 기록은 다른 파일에 있는 하나 이상의 기록들과 연관 → 다른 파일에 있는 기록들과 연관시키기 위해서는 계층형 구조와 마찬가지로 지시지가 필요 |
장점 | - 다른 파일 내에 있는 기록을 접근하는 경로가 다양하고 기록들 사이에 다양한 연관이 있더라도 반복하여 자료항목을 생성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 - 하나의 파일에 들어 있는 기록에 변화가 발생하여도 다른 파일을 사용하는 프로그램에 영향 없음 - 기록이 추가되거나 삭제되면 서로 다른 자료 내에 있는 기록 사이의 연관성을 정의하는 지시자가 자동적으로 변환 |
단점 | -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료이용 영역이 확대 → 연관성은 더욱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되며 새로운 연관성을 위해 자료가 재구성되므로 또 다른 새로운 연관성을 규적 - 커다란 DB에서와 같이 복잡한 자료는 자료망 내에 지시자를 저장하기 위한 충분한 저장 공간 필요 |
4.3.4. 관계 구조
특징 | - 자료항목들은 표라고 불리는 서로 다른 평면구조의 파일에 저장되고, 표 내에 있는 각각의 사상은 반복되는 영역이 없는 하나의 자료 항목 구조 소유 - 이러한 표들은 횡방향으로 주어진 값들과 연관을 맺게 되며 표와 표 사이의 새로운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새로운 분야에 대한 응용이 가능 |
장점 | - 기술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도 자료에 대한 접근이 용이 - 새로운 기록이나 자료항목이 추가되거나 기록들 간의 새로운 관계가 설정 되더라도 기존의 프로그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 |
단점 | - 커다란 표 사이에 새로운 관계를 정립하기 위해서 많은 처리 시간이 필요 → 표 내의 기록들에 대한 접근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므로 낮은 처리 속도 - 사용자가 각 항목들 사이의 불필요한 관계를 설정하게 될 때 이러한 기록들 사이에는 높은 연관관계로 논리적은 오류 발생 |
'G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S] 개발관련 GIS 기초공부(7) - 정보의 흐름 (0) | 2023.12.01 |
---|---|
[GIS] 개발관련 GIS 기초공부(6) - 정보의 교환 (metadata) (0) | 2023.11.30 |
[GIS] 개발관련 GIS 기초공부(5)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1) | 2023.11.30 |
[GIS] 개발관련 GIS 기초공부(3) - 위상구조 (0) | 2023.11.29 |
[GIS] 개발 관련 GIS 기초공부(1,2) - 개요 및 정보 (0) | 2023.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