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IS

[GIS] 개발 관련 GIS 기초공부(1,2) - 개요 및 정보

by dev_haha 2023. 11. 29.

 

GIS회사에 입사한 신입으로서
기초적인 공부를 하며 정리한 내용

1. GIS 개요


1.1 정의

- 지리공간정보체계
- GIS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GSIS :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이라고도 한다.

- 지구, 지표, 공간, 우주 등 인간이 활동하는 모든 공간에서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정보화하고 이 정보를 컴퓨터에 넣어 종합적, 연계적으로 처리하는 시공간적 분석을 통해 그 자료의 효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정보 시스템

- 필수요소 : 컴퓨터(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자료, 인적자원


1.2 출현배경

1. 산업화, 도시화에 따른 방대한 자료처리의 문제점 발생

1. 제도상의 문제 
- 부서간 업무연계 취약
- 지역 통계자료의 부족
2. 내용상의 문제
- 시간공간적 자료 부족개념
- 기준의 불일치로 신뢰도 저하
- 자료 세분화 부족
3. 수집 관리 활용상 문제
- 자료 중복 및 분산관리
- 자료의 일반적 활용 공간 부족

이러한 문제에 따라

2. 관리, 처리 방안의 수립이 필요

- 효율적 관리
- 이용가능한 자료의 구축
- 합리적 공간 분석

3. 이를 통해 얻는 이점들

  • 의사결정의 신속성과 정확성
  • 수치지도 제작 및 수정시간 단축
  • 효과적인 계획과 설계로 비용 절감
  • 정보의 표준화로 정보의 질적 안정
  • 정보의 취득 및 유지관리 시간과 비용 절감
  • 대고객 서비스의 질 향상 및 신뢰도 향상
  • 복잡한 데이터 분석결과의 시각화

1.3 GIS 역사

1960년대
  • 1959 : 토블러, GIS 소프트웨어 표준적인 요소들이 포함된 MIMO 모델 제시
  • 1963 : - 캐나다, CGIS(Canadia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개발
    - 비슷한 시기에 미국 뉴욕주, 자원관리를 위해 LUNAR 개발
    - Fisher, 하바드 그래픽 연구소 설립, DIME 개발하여 위상관계 수용
1970년대
  • 컴퓨터의 본격적 등장
  • 급격한 사회환경 변화에 대한 자료 처리도구의 필요성 대두
  • CADD(Computer Aided DEsign & Drafting)의 등장
  • 전문 GIS 관련 산업의 등장
  • 자원, 환경관리 및 공공시설 관리에 주로 활용
1980년대
  • GIS 저변 확대기
  • 벡터(vector) 및 위상(topology)구조의 본격적 수용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의 등장
  •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의 등장
  • 정부하부조직 및 민간영역의 활발한 도입
1990년대
  • H/W, S/W의 발전에 따른 장비의 발달
  • 저장매체 및 통신기술의 발달
  • 범지구위성항법시스템(Global Positiong System : GPS)의 보급
  • 3D GIS의 등장
  • 인터넷(internet) 활용
  • GIS 생활화 단계
1995년
  • NGIS 1차 사업 (국토지리정보원) → GIS 기반 조성
  • 수치지도 제작 시작 (1/1000 도심, 1/5000 소도시, 1/25000 산악지) (처음에는 엉망)
2001년
  • NGIS 2차 사업 (수치지도 표준화, 활용 방안)
  • 영상지도 제작
2006년
  • NGIS 3차 사업 (질적 향상, u-city, 유통체계)
  • 지능형 국토정보 R&D 사업 (5년간 1459억원 투입)
2010년
  • NGIS 4차 사업 →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국가공간정보기반 구축
  • 저탄소 녹색성장,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위한 인간과 사물의 지능화와 새로운 서비스 창출

1.4 GIS 활용분야

  1. 지리공간정보시스템
    •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지리공간정보시스템의 시초
    • 지리공간정보시스템 중 지형과 지리에 관련된 자료만 취급하는 정보체계
  2. 토지정보시스템
    • LIS, Land Information System
    • 국자의 주권이 미치는 전 영토를 필지 단위로 나누어
      필지 단위의 토지에 대한 이용, 개발, 행정, 다목적지적 등 처리
    • 주로 지적에서 활용하며 다목적 국토정보, 토지이용 계획수립, 지형분석 및 경관정보 추출, 토지부동산 관리,
      입체영상 정합기법을 이용한 지형도 및 지적도 제작자동화 등 지적정보 구축
  3. 도시정보시스템
    • UIS, Urban Information System
    • 도시현황 파악, 도시계획, 도시정비, 도시기반시설관리,
      도시행정, 도시방재 등의 분야에 활용
  4. 지역정보시스템
    • RIS, Region Information System
    • 건설공사계획 수립을 위한 지질, 지형자료의 구축,
      각종 토지이용 계획의 수립 및 관리에 활용
  5. 측량정보시스템
    • SIS, Surveying Information System
    • 측량성과, 측지, 사진측량, 원격탐측 정보를 수집하고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각종 공사의 입안, 설계,
      건설 및 유지관리에 활용하기 위한 시스템
  6. 도형 및 영상정보시스템
    • GIIS, Geographic/Image Information System
    • 수치영상처리, 전산도형해석, 전산지원설계, 모의관측에 활용
  7. 자원정보시스템
    • RIS, Resources Information System
    • 농상자원정보, 삼림자원정보, 수자원저옵 등의 정보관리
    • 위성영상과 지리공간정보시스템을 활용한 농작물 작황조사,
      병충해 피해조사 및 수확량 예측, 토질과 지표특성을 고려한
      산림자원 경영 및 관리대책의 수립 등을 정보체계
  8. 조경/경관정보시스템
    • LIS/VIS, Landscape Information System / Viewscape Information System
    • 수치지형모델, 전산도형 해석기법과 조경, 경관요소 및
      계획대안을 고려한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최적 경관계획을 수립하고
      이 결과를 조경설계, 경관분석, 경관계획에 활용하는 시스템
  9. 환경정보시스템
    • EIS,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 대기오염 정비, 수질오염 정보, 유해폐기물 위치평가 등
      각종 오염원의 생성과 관련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
    • 자연환경, 생활환경, 생태계 경관변화 예측, 대형 시설물의
      건설에 따른 일조량의 변화 등을 예측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
  10. 지하정보시스템
    • UIS, Underground Information System
    • 지하시설에 대한 정보를 과니하는 정보시스템으로
      지하 도로, 상하수도, 통신, 가스, 전기, 소방도 등
      지하 시설물과 이와 관련되는 지상정보와 연계하여 관리
  11. 해양정보시스템
    • MIS, Marine Information System
    • 해저 영상저보, 해저 지질정보, 해상정보 등 관리
    • 해류흐름의 변동, 수온 분포 및 변화조사, 어로자원 이동상황 및
      어장현황 예측 등을 다루는 정보시스템
  12. 국방정보시스템
    • NDIS, National Defense Information System
    • 가시도 분석, 국방정보자료기반, 작전정보 구축에 활용
    • 인공위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체 지역의 지형도 작성,
      수치지형모형 중첩에 의한 미사일 공격목표 선정, 최대 공격효과의 예측 등 군 관련 정보를 다루는 시스템
  13. 재해정보시스템
    • DIS, Disaster Information System
    • 홍수방재체제 수립, 산불방지대책 수립 및 관리
    • 수계특성, 유출특성, 강우빈도 및 강우량 등을 고려하여
      긴급출동 등의 적절한 방재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정보 시스템
  14. 기상정보시스템
    • MIS, Meteorological Information System
    • 기상변동 추적 및 일기예보, 기상정보의 실시간 처리,
      태풍경로 추적 및 피해예측 등에 활용
  15. 교통정보시스템
    • TIS, Transportation Information System
    • 육상교통관리, 해상교통관리, 항공교통관리, 교통계획 및 교통영향평가 등 처리
    • 교통량, 노선연장, 운수 및 물류, 도로보수 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
  16. 수치지도제작/지도정보시스템
    • DM/MIS, Digital Mapping/Map Information System
    • 중/소축적 지도제작, 각종 주제도 제작에 활용
  17. 도면자동화 및 시설물관리시스템
    • AM/FM, Automated Mapping/Facility Management
    • 수치지도에 의해 도면의 생산과 수정을 자동화하고
      상하수도, 전화시설, 전력시설, 가스시설, 도로 및 철도시설,
      유선방송 관리시스템, 교량유지 관리시스템 등 구조된 시설물을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정보시스템

1.5 GIS 구성

컴퓨터 H/W
  • 입력장치, 처리장치, 출력장치와
    각종 자료를 저장하는 저장장치로 구성
  • 중앙 집중식과 분산식 등으로 구성
S/W
  •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각종 프로그램을 지칭하는 용어
  • 하드웨어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GIS의 사용 목적에 활용하기 위한 프로그램들로 구성
DB
  • 도형 및 영상정보 : 지도나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정보
  • 속성정보 : 문헌, 조사, 각종 대장, 통계자료에서 추출
  • 최근 다양한 인공위성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많은 정보 획득
  • DB는 GIS의 가장 핵심적인 요소로 구축, 유지 및 관리에
    GIS에서 가장 많은 시간과 노력, 비용이 소요
인력
  • GIS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 데이터를 구축하고 실제 업무에 활용하는 사용자
  • 시스템을 설계하고 관리하는 전문 인력 뿐 아니라
    일상 업무에 GIS를 활용하는 사용자 모두를 포함

2. GIS 정보


2.1 정보의 개념과 종류

  • 정보는 GIS에서 자료와 동일 개념으로 사용되며
    지형 및 공간에 관련된 모든 사항 포함
  • 정보는 생성 초기부터 많은 관심과 엄밀한 취득방법을 통해
    높은 정확도로 생성되어야 한다.
  • 현실에 맞도록 항상 최신화 되어있어야 한다.
GIS 자료 위치정보 상대위치정보 소규모 지역 위치와 관련된 정보
절대위치정보 대규모 지역의 위치정보
특성정보 도형정보 점, 선, 면, 영상소, 격자셀, 기호
영상정보 항공기, 위성에서 촬영한 사진
속성정보 지도상 특성, 질, 지형, 지물의 관계

아래에서 하나씩 살펴보자.


2.2 위치정보

상대위치정보

  • 모형공간 내에서의 위치정보
  •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고 위상관계를 부여하는 기준
  • 임의의 지역에 기준값을 정하고
    그 위치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나를 표현하는 것
  • 기준값이 변하면 상대 위치값도 변하므로 적은 지역의 위치결정

절대위치정보

  • 실제 지구 공간상에서의 위치정보
  • 전 지구를 하나로 연결하여 위치 기준으로 활용
  • 절대위치는 경도, 위도, 높이값을 통해 변하지 않는 정해진 좌표계로
    항상 일정한 값을 갖도록 좌표점을 기준으로 하는 위치

2.3 특성정보

도형정보

  • 지도에 표현되는 수치적 설명으로 특정한 지도 요소를 설명
요소 특성 분석
  • 기하학적 위치를 나타내는 0차원 또는 무차원 정보
  • 절점 : 점의 특수한 형태 → 위성적 연결이나 끝점을 표현
최근린방법 : 점 사이의 물리적 거리 관측

사지수방법 : 대상영역의 하부 면적에 존재하는 점의 변이를 분석
  • 1차원 표현으로 두 점 사이의 최단 거리
  • 선의 특수한 형태 : 문자열, 호, 사슬 등
  • 망분석 : 선 자료를 회로로 표현하고 순환성을 갖는 연결을 분석
  • 프렉틀 차원 : 자기 자신을 계속 축소 복제하여 무한히 이어지는 성질을 이용하여 선 자료 분석

  • 한정되고 연속적인 2차원적 표현으로 다각형으로 표현
  • 경계를 포함하는 경우와 불포함하는 경우 공존
공간적 자동 상관관계를 조사하거나 공간적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기법 활용
영상소(pixel) - 영상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구조단위
- 영상에서 눈에 보이는 가장 작은 셀(cell)로 2차원적 영상소를 의미
격자셀(grid cell) - 연속적인 면의 단위 셀을 나타내는 2차원적 표현
기호, 주석 - 기호 : 지도 위에 점의 특성을 나타내는 도형요소
- 주석 : 지도상 도형적으로 나타난 이름으로 도로명, 지명, 고유번호, 차원 등을 기록

출처: https://youtu.be/cKboS2oi9ks?si=KcyqPZipTinqGWrU

 

영상정보

  • 항공기나 인공위성에서 취득한 영상정보를 수치화하여 컴퓨터에 입력
  • 스캐너 등의 입력장치로 읽어 컴퓨터에서 처리하기 위한 형태로 입력
  • 영상정보는 영상소 단위로 형성되며 격자형 또는 격자방안형 형태로 자료가 처리되고 조작

 

속성정보

  • 지도상의 특성, 질, 관계, 지형적 위치 등을 설명하는 자료
  • 속성정보 자료는 문자와 숫자가 조합된 구조로 행렬의 형태로 저장
  • 내용 : 속성, 지형참조 자료, 지형색인, 공간관계 등 포함
속성 - 도형요소에 의해 나타난 성질을 문자나 숫자의 형태로 설명하는 것
지형참조자료 - 물리적이거나 인공적인 고유의 지형 위치를 설명
지형색인 - 지형인식을 위해 기초가 되는 자료
- 지도형상을 특정 지역에 가져다 놓는데 사용
공간관계 - 지도형상의 관계와 연계성 및 인접성을 설명하는데 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