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

[GIS] 개발관련 GIS 기초공부(10) - NGIS

dev_haha 2023. 12. 1. 18:20

10. NGIS


10.1. 국가 GIS 사업

- 지리정보를 생산·관리하는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정부투자 기관이 구축하고 관리하는 지리정보시스템

- NGIS 사업의 주된 내용

  • 종래 2차원 자료로 구축되고 활용되었던 수치지도를 3차원으로 변환
  • 지자체 GIS database를 통합하여 통합 DB를 구축하는 방안

- 이와 관련하여 2011년 부터 4차 국가 GIS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수행

- NGIS 사업은 초기에 재정경제원의 주관으로 추진되다가 1995년부터 건설교통부로 총괄책임이 이관

- 주요 참여기관으로는 건설교통부, 정보통신부, 과학기술부, 행정자치부 등 11개 정부 부처가 참가


10.2. 1,2차 NGIS 사업

구분 제1차 NGIS 기본계획 제2차 NGIS 기본계획
계획 기간 1995~2000년 2001~2005년
계획 기조 국가 경쟁력 강화 및 행정생산성 제고를 위한 국가 공간정보 구축 공간정보 기반을 확충하여 디지털 국토 실현
목표 - 공간 정보 DB 구축
- 국가 표준 수용 및 GIS 기술 개발
- 기본 공간정보 DB 표준안 확립
- 디지털 국토 초석 마련
- 지리정보의 인터넷 유통 및 활용
- 핵심 기술 개발 
추진전략 - 기본 공간 정보 DB 기반 구축
- 공간정보 표준화
- 정부 차원의 GIS 활용체계 개발
- 관련 제도 정비
- 국가 공간 정보기반 확충 및 유통 시스템 정비
- 범 국가차원의 강력한 지원
- 상호 협력체계 강화
- 국민 중심 서비스 극대화

10.3. 3차 NGIS 사업

3차 사업의 목표 - GIS를 기반으로 하는 전자 정부 구현
- GIS 서비스를 통한 삶의 방식 개선
- GIS를 이용한 새로운 사업 창출
수립 전략 국가 GIS의 활용 고도화 Goverment GIS 고도화
- Citizen GIS 정착
- Business GIS 정착
국가 GIS 기반 고도화 - 국가 GIS 기반 요소 고도화
- 국가 GIS 기반의 지속적 고도화
- 선택과 집중을 통한 핵심역량 강화

유비쿼터스

- 도시건설의 패러다임 변화와 미래도시에 대한 새로운 요구에 따라 제 3차 NGIS 사업에서 새로이 도입한 체계

- 차세대 도시환경인 유비쿼터스 도시와 지속가능한 생태도시의 개념이 융·복합된 새로운 형태의 U-Eco City 제안

 

U-city

-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 서비스를 도시공간에 융합하여 생활의 편의증대와 삶의 질을 햐상

- 체계적 도시 관리에 의한 안전과 주민복지 증대 도모 및 신사업 창출 등 도시 제반 기능을 혁신시킬 수 있는 21C 첨단도시 건설을 의미

- 연계기술 : GIS, LBS, GNSS, RS, 텔리매틱스, ITS, 도시통합관제기술, 홈네트워크 등


10.4. 지능형국토정보 R&D 사업

사업 내용

- IT 기술과 GIS 등 공간정보기술을 융합하여 지능형 국토를 실현하고 국토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지능형 국토정보기술 혁신로드맵 수립

중점추진과제 주요내용
공간정보 기반 인프라 기술 - 기준점, 장비, 공간정보 DB혁신을 통한 정확도 향상
국토 모니터링 기술 - 국토의 변화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술 개발
도시 시설물 지능화 기술 - USN, RFID 등을 이용한 도시시설물 첨단 관리시스템 개발
u-GIS기반 건설정보화혁신기술 - GIS 기반의 건설정보화의 다양한 활용기술개발
u-GIS 핵심 융·복합 기술 - IT 기술과 공간정보기술의 융·복합 기술개발

기대 효과
목표 기대 효과
국토정보의 향상 - 위치 정확도 수 cm에서 수 mm단위로 향상
GIS 기술순위 5위권 진입 - 세계 GIS S/W 시장 10위권의 수준을 5위권으로 진입
국내 GIS 시장규모 5배 확장
일자리 1,000명/년 창출
- 약 3천억원('05년)의 GIS 시장을
   1조 5천억원('10년)으로 확대
기술개발 성과의
Test-bed 구축
- 행복도시, 혁신도시 등 시범도시를 선정 
   → 기술개발 성과의 실용화 추진

 


10.5. 4차 NGIS 사업

기본 방향

- 녹색성장을 위한 그린정보사회의 실현이라는 목적으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5년에 걸친 사업으로 구상되어 추진

Green

GR(GReen growth) + EE(Everywhere, Everbody) + N(New deal)

제 4차 사업의 비전 : 녹색성장을 위한 그린 공간정보사회의 실현
3대 전략 10대 정책 과제
1. 기후변화 적응 및 에너지 자립 1. 효율적 온실가스 감축
2. 탈석유 및 에너지자립 강화
3. 기후변화 적응역량 강화
2. 신성장동력 창출 4. 녹색기술·산업의 개발
5. 산업의 녹색화 및 녹색산업 육성
6. 산업구조의 고도화
7. 녹색경제 기반 조성
3. 삶의 질 개선과 국가위상 강화 8. 녹색국토 및 녹색교통 조성
9. 생활의 녹색혁명
10. 세계적인 녹색성장 모법국가 구현

비전과 추진목표
항 목 주 요 내 용
비전 - 삶의 질과 녹색 경쟁력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국민 모두가 공간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쉽고 편리하게 공유·활용할 수 있는 사회 실현
목표 GReen - 녹색성장의 기반이 되는 공간정보
  : 지속가능한 녹색국토건설을 지원하는 공간정보의 기반 구축
Everywhere,
Everbody
- 어디서나 누구라도 활용가능한 공간정보
  :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New deal - 개방 · 연계 · 융합 활용 공간정보
  : 국가공간정보의 개방, 연계 및 융·복합 활용에 의한
    관련 산업 활성화 및 신성장동력 창출을 통한
    국가적 경제발전 도모

출처: https://youtu.be/KSouAQ1GtNU?si=PrBUmaaBH3zlQz4s


10.6. 5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

기본 방향

- 공간정보를 통한 융복합 활성화로 공간정보산업의 질적 도약을 위해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제5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을 수립

- 공간정보로 실현하는 국민행복과 국가발전을 기본 목표로 설정
   → 스마트폰 등 ICT 융합기술의 급속한 발전
        창조경제와 정부 3.0으로의 국정운영패러다임 전환
        변화된 정책환경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마련

3대 추진 목표
1. 국가공간정보 기반 고도화
2. 구축공간정보 융복합을 통한 창조경제 활성화
3. 공간정보의 공유·개방을 통한 정부 3.0 실현

 


실천과제
7대 실천 과제
1. 고품질 공간정보 구축 및 개방 확대
2. 공간정보 융복합산업 활성화
3. 공간 빅데이터 기반 플랫폼서비스 강화
4. 공간정보 융합기술 연구 개발 추진
5. 협력적 공간정보체계 고도화 및 활용 확대
6. 공간정보 창의인재 양성
7. 융복합 공간정보정책 추진체계 확립

 


기대 효과

-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한 융복합이 가속화

- 이를 통한 공간정보산업의 비약적 발전


Web GIS

- 국가 GIS 사업을 통하여 구축된 정보의 유통을 인터넷의 활용으로 유포하기 위해 개발된 GIS 최신 개발기법

 


10.7. 모바일 GIS

- 별도의 시공간의 제약 없이 지형 및 공간정보에 관련된 자료기반을 유선 및 무선 환경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 기반의 필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된 시스템

- GNSS 위치정보를 통해 다양한 지리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
   → 재난, 응급, 의료, 경찰업무, 개인 등에게 필수적인 위치정보를 제공
   → GNSS를 이용한 실시간 이동체의 위치추적하기 위한 시스템


특징

- 1990년대 초 MMS(Mobile Mapping System) 기본개념 구축

- 차량에 GNSS 수신기와 디지털 사진기, 비디오카메라 등을 장착

- 도로 선형과 시설물을 측량하는 지도제작 시스템에 mobile computer, 개인 휴대전화, PDA 등을 결합

-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지형정보를 검색, 추가, 갱신 가능

- 휴대가 간편하며 저비용으로 구축 가능

- 무선인터넷으로 현장과 GIS 응용프로그램을 실시간으로 연결


활용

- LBS, 지능형 차량정보시스템, 지리정보기반 고객관리시스템, 무선 POS(Point of Sales, 판매관리시점)를 이용한 유통관리시스템 모바일 등에 효율적으로 활용이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