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
[GIS] 개발관련 GIS 기초공부(5)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dev_haha
2023. 11. 30. 15:45
5.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5.1. DBMS 개요
- 자료의 저장, 조작, 검색, 변환을 처리하는 특별한 소프트웨어
→ 데이터베이스를 관리, 조작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일종
- 정보의 저장과 관리와 같은 정보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
- DBMS는 조작자와 하드웨어 사이에서
사람의 논리적인 요청을 컴퓨터 언어로 번역해주고
데이터의 입출력을 관리해 주는 S/W
- DBMS 는 데이터 관리를 위해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여
다른 응용프로그램에게 서비스를 해 주는 프로그램
- DBMS의 요구사항 :
대용량의 자료를 처리
고도의 신뢰성 요구
철저한 안정성 보장
동시에 효율적으로 동작
5.2. DBMS 기능
- DBMS에서 파일의 조작과 관리가 가능
- 복잡한 파일 조작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자료의 입력과 검색을 조작하며
일반적인 목적에 사용되는 자료조작 실행
- DB 운영시스템
특정한 사람에게만 자료의 특성을 바꿀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여
자료가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 등의
여러 보안기능 수행
사용자가 언제라도 자료에 대한 접근을 할 수 있도록
자료를 유지하며 암호를 알고 있는 사람만이
특정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통제 (관리자 모드)
5.3. DBMS 목적
- DBMS는 다양한 접근방법을 통해 자료에 접근할 수 있도록 자료를 구조화
- 언제 응용르 하더라도 이와 무관한 형태로 자료를 저장하여
다른 분야로의 응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활용
- 자료에 대한 접근을 조절하며
새로운 자료의 추가와 삭제를 포함한
자료의 갱신이나 변화를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운용
- 자료의 중복을 최소화하여 검색시간을 단축시켜
최종적으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개발
5.4. DBMS 설계
- 자료조사를 통해 취득된 자료는 사상(entity)와 속성(attribute)을 포함
- 사상 : 존재의 형상을 의미
속성 : 특징에 대한 개념을 의미
- 자료는 자료에 대한 개념적인 모델을 형성하여 모델링되며
주로 서로 다른 사상과 그에 따른 속성들 사이의 관계설정에 중점을 두고 설계
- DB 설계에서 DBMS를 위한 실제적인 데이터베이스가 제작
- 데이터베이스의 monitor는 시스템이
소요목적에 맞도록 작동되는지 점검한 후
원래의 목적과 다른 부분에 대한 수정작업을 수행
5.5. DBMS 종류
1. 단순파일시스템
- 두 가지 종류의 파일로 구성
첫 번째 파일 : 알파벳과 같이 순차적으로 자료가 저장
두 번째 파일 : 그에 따른 속성값이 순차적으로 기록
- 단점
- 단순파일시스템에서는 자료 사이에 많은 중복이 발생
- 중복으로 인해 DBMS가 유연성을 갖지 못하며 변형 과정에서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비
2. 계층형 DMBS
- 계층구조 내의 자료들이 논리적으로 관련이 있는 영역으로 분리
- 하나의 주된 영역 밑에 나머지 영역들이 나뭇자기와 같은 형태로 배열되는 형태
3. 망구조 DBMS
- 계층형과 유사하지만, 망을 형성하는 것처럼
파일 사이에 다양한 연결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계층형과 차이
-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한 파일에 직접 접근할 수 있게 되며 파일 상층부에서 하층부에 이르기까지 시스템 전체에 대한 탐색을 수행할 필요 없이 검색하고자 하는 자료에 접근이 가능
- 이 시스템은 데이터 모델링 복잡하여 많이 사용하지 않는 추세
4. 객체지향형 DBMS
- 객체지향에 기반을 둔 논리적 구조를 가지고 개발된 관리시스템
- 이 시스템은 객체로서의 모델링과 데이터 생성을 지원하는 DBMS
- 객체들의 클래스를 위한 지원의 일부 종류와,
클래스 특질의 상속,
그리고 서브클래스와 그 객체들에 의한 기법 등을 포함
5. 관계형 DBMS
- 영역들이 갖는 계층구조를 제거하여
시스템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서 만들어진 구조
- 이 시스템은 논리적 구조가 테이블의 형태로 이루어진
비교적 간단하며 SQL 지원
- 데이터 무결성, 보안, 권한, 트랜잭션 관리, 록킹 등
과거 응용분야에서 처리해야 했던 많은 기능들을 지원하는 시스템
- DB는 테이블들로 구성되고 행의 레코드는 열의 필드로 구성되며
필드는 단지 하나의 데이터 항목을 갖는 자료구조
- 종류 : Oracle, DB2, Informix, Sybase, SQL Server 2000 등
1980년대부터 사용되기 시작함, 과거의 기능들을 보안한 시스템
6. 객체관계형 DBMS
- 객체지향형과 관계형의 장점들을 수용하여 개발한 DBMS
(객체관계 + 테이블형)
- 객체지향형 DBMS 보완 :
어렵고 까다로운 객체지향형의 데이터 모델링 문제를
관계형 데이터 모델을 활용하여 해결하도록 개발
- 관계형 DBMS 보완 :
1. 반복그룹, 포인터 추적, 자료형태의 한계를 제거
2. 기존의 RDBMS를 기반으로 하는 많은 DB 시스템과의 호환이 가능
- 종류 : Oracle 8i/9i, Universal Server, Postgress 등의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