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

[JAVA(자바)] 변수와 자료형(1) | println() 메소드로 출력하기

by dev_haha 2023. 2. 18.

1월 31일 수업 내용 정리

자료형 데이터 메모리 크리 표현 가능 범위
boolean 참과 거짓 1바이트 true, false
char 문자 2바이트 모든 유니코드 문자
byte 정수 1바이트 -128 ~ 127
short 정수 2바이트 -32768 ~ 32767
int 정수 4바이트  -2147483648 ~ 2147483647
long 정수 8바이트 -9223372036854775808 ~ 9223372036854775807
float 실수 4바이트 +-(1.40x10^-45 ~ 3.40x10^38)
double 실수 8바이트 +-(4.94x10^-324 ~ 1.79x10^308)

 

앞으로 코딩할 때 기본 셋팅

public class Testxxx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당분간 코딩하는 영역
    }
}

public, static, void, String[], args가 뭔지는 차차 배울겨

 

 

public class 클래스명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당분간 코딩할 영역
        // 함수이름()		→ 함수(메소드)
        
        // 함수이름()		→ 함수(메소드) 정의
        //{
        //		...
        //}
        
        System.out.println("Welcome to Java");
        System.out.println("First Java Programming");
    }

}

 

 

결과 출력

print에 ln을 붙인 println() 메소드는 괄호()안의 값을 출력한 후 개행한다. (다음 줄로 넘어간다고)

println() 앞에 붙는 System.out.은 
구급상자 열고 내복약칸 열고 게보린이 있는것을 →  구급상자.내복약.게보린(); 이라고 표현한다면
System 열고. out 열고. println()이라는 메소드를 호출한다고 보면 된다.
즉, System 클래스의 out 객체의 println() 메소드를 사용한다.


int형 변수 선언,초기화, 출력 예시

public class Test003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4바이트 정수형 변수 선언
        int a;
        
        // 변수 a에 10 대입 (변수 초기화)
        a = 10;
        
        // 변수 선언과 초기화 (선언과 대입을 한 번에 처리)
        int b = 20;
        
        // 변수 선언
        int c;
        
        //println() 메소드를 사용하여 a의 값 출력
        System.out.println(a);
        //--==>> 10
        
        // 연산 및 처리
        c = a + b;
        // 연산의 우선순위를 따지면 +가 먼저, 제일 마지막이 =
       	// 즉 a와 b를 더한 값을 변수 c에 대입한다.
        
        // 결과 출력
        System.out.println(c);
        //--==>> 30
    }
}

이 예시에서 덧셈 연산자는 정수(또는 실수)의 연산 기능을 수행함. 


정수형(int), 실수형(double), 문자열(String) 을 print메소드를 통해 출력하기

System.out.println("변수 a에 들어 있는 값은 ");
//--==>> 변수 a에 들어 있는 값은

println()메소드 안에 ""로 감싸인 부분은 문자열로 출력된다


System.out.println("변수 a에 들어 있는 값은" + 10);
//		  -----------------------    ---
//			문자열	            정수
//--==>> 변수 a에 들어 있는 값은 10

여기서 덧셈연자의 역할은 문자열 겹합의 기능을 수행.

※ 덧셈 연산자(+)
피 연산자 중 어느 하나라도 문자열 형태의 데이터가 존재한다면
산술 연산자로써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문자열 결합 연산자로써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정수형, 실수형, 문자열이 섞여서 출력되는 예시

System.out.println(500 + 10);
//--==>> 510
// +가 산술 연산자로써의 기능 수행

System.out.println("500" + 10);
//--==>> 50010
// +가 문자열 결합 연산자로써의 기능 수행

System.out.println(5.0 + 10);
..--==>>15.0
// +가 산술 연산자로써의 기능 수행
// 정수형 피 연산자가 각 int형, float(또는 double)형 이라면 
// 연산 결과는 float(또는 double)형으로 자동 형변환 된다.

System.out.println("변수 a에 들어 있는 값은" + "10");
//--==>> 변수 a에 들어 있는 값은 10
// 문자열과 문자열이 합쳐진거임

System.out.println("변수 a에 들어 있는 값은 " + a + "입니다.");
//--==>> 변수 a에 들어 있는 값은 10입니다.

// '+' 연산자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 피연산자 중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 문자열 결합 연산자로 활용되며
// 처리의 최종 결과는 문자열의 형태로 반환된다.

System.out.println(a + " " + b + " " + c);
//--==>> 10 20 30

//  추가 관찰

System.out.println(1 + 2);		
//--==>> 3 
//산술 연산자 +

System.out.println("1" + 2);		
//--==>> 12
//문자열 결합 연산자 +

System.out.println(1 + "2");
//--==>> 12
//문자열 결합 연산자 +

System.out.println("1" + "2");
//--==>> 12
// 문자열 결합 연산자 +